2016년 12월 7일 수요일

Ιούδας 유다서 Jude 1:3,
"Ἀγαπητοί, πᾶσαν σπουδὴν ποιούμενος γράφειν ὑμῖν περὶ τῆς κοινῆς ἡμῶν σωτηρίας ἀνάγκην ἔσχον γράψαι ὑμῖν παρακαλῶν ἐπαγωνίζεσθαι τῇ ἅπαξ παραδοθείσῃ τοῖς ἁγίοις πίστει.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일반으로 받은 구원에 관하여 내가 너희에게 편지하려는 생각이 간절하던 차에 성도에게 단번에 주신 믿음의 도를 위하여 힘써 싸우라는 편지로 너희를 권하여야 할 필요를 느꼈노니
Beloved, although I was very eager to write to you about our common salvation, I found it necessary to write appealing to you to contend for the faith that was once for all delivered to the saints."


- 유다서의 목적이 기록된 3절을 주의 깊게 보면, 기독교 구원론의 중요한 내용이 드러난다.
- 그것은 두 개의 구에서 시작하는데, 그 둘은 "τῆς κοινῆς ἡμῶν σωτηρίας 우리가 일반으로 받은 구원"와 "τῇ ἅπαξ παραδοθείσῃ τοῖς ἁγίοις πίστει 성도에게 단번에 주신 믿음의 도"이다.

- 먼저 "τῆς κοινῆς ἡμῶν σωτηρίας 우리가 일반으로 받은 구원"은 믿음의 공동체를 이룬 초대교회가 공동으로 가진 믿음 즉, 예수님을 믿는 믿음을 이르는 것이다. 그러한 믿음 위에 믿음으로 고백하는 "구원"의 자리에 있다는 것이다.

- 그런데, 그러한 싸움 중에 만난 당황스러운 상황은 바로, 이러한 믿음에 대한 질문이었다(4절부터 등장하는 상황과 맞물려 있다). 즉, 이러한 믿음이 완전하지 않다거나 그 믿음에 걸맞는 행위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너무 과다하게 되면서 중심 즉, 구원의 두 가지 측면 (구원의 완성과 구원의 적용)이 함께 있어야 한다는 중심을 잃어버리고 이 두 가지 측면이 혼선을 빚게 된 상황으로 치닫게 되고, 결국, 혼란 속에서 행위가 더 중요한 내용으로 자리를 잡게 되고 예수님의 구원의 능력이 감소된 것이다.

- 그래서, 유다는 이러한 상황에서 한 가지를 구별하려고 노력한다. 바로, 바울이 로마서 6장 10절에서 사용했고 히브리서 기자(본인은 바울이라고 생각한다)가 여섯 번이나 사용했던 표현인 "ἅπαξ 단번에"라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더이상 후속되어지는 행위가 필요없는 완전한 행위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이것은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이 이룬 구원의 완성(historia salutis)을 설명하기 위한 표현인 것이다.

- 유다는 이러한 혼란의 시대 즉, 구원의 완성과 구원의 적용이 혼란하여 빚어지게 된 시대에 그 혼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시도하는 것이 그 둘 사이를 구별하는 것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 부분에서 "구원의 완성"이라는 측면을 언급하기 원하였고 "단번에 주신 믿음의 도"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 "단번에 주신 믿음의 도"는 더이상 계속 받아야 하는 믿음이 아니라 딱 한 번에 끝나는 믿음 즉, 구원얻는 믿음을 딱 한 번에 주시고 마무리하신 바로 그 믿음을 언급함이다.

- 그 믿음은 다시 받아야 하는 믿음이 아니고 한 번에 종결된 믿음이다. 다시 말하면, 그 믿음이 있으면 구원받은 것이다. 예수님께서 단번에 이루신 구원의 완성 안에 믿음으로 단번에 들어온 것이고 예수님과 연합한 것이다.

- 그 믿음을 위한 분투가 필요하다는 것이 유다의 논지이다.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강조하면서 지켜져야 함을 피력하는 것이다.

- 다시 말하면, 그 믿음을 건들지 말아야 한다는 말을 하기 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행위가 부족하거나 연약할 때, 구원을 받았는 지 안받았는 지를 고민하지 말고, 그 단번에 주신 구원의 의미와 가치와 확실성에서 보여지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능력과 은혜를 더 깊이 있게 배우는 자리에 서라는 말이다.

- 행위의 문제가 드러날 때마다, 사람들은 구원의 문제를 거론한다. 그것은 기독교 구원의 진리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데에서 나오는 중심을 잃은 결과이다. 구원이 행위와 관련이 없다고 강변하면서, 결국 행위를 붙잡고 사람을 평가하고 있는 안타까운 자리에 서는 것이다. 자가당착(自家撞着)이다(사실, 이렇게 행위를 강조하는 사람치고 행위가 건전한 사람을 본 적이 없다!)

- 오히려, 연약하고 부족한 성도를 향해, 단번에 주신 "예수님을 자신의 구원자로 믿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구원을 주신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다시 한 번 돌아보도록 일깨워주고 그러한 이유로 우리가 더이상 옛사람의 모습에 머물러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알리고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

- 예수님께서 십자가와 부활로 완성하신 구원을 함부로 말하지 말자. 그 안에 우리를 초대하고 우리를 자녀 삼으신 하나님의 사랑을 평가절하(平價切下)하지 말자. 오히려 그 안에 있지만(하나님의 백성이지만/ historia salutis matter), 여전히 초라한 우리의 모습(하나님의 백성답게 살지 못하는 모습/ ordo salutis matter)을 한탄하자. 그리고, 오늘 하루도 그 예수님의 힘을 의지하면서, 우리가 살아가야 할 삶의 현장을 맡겨드리고 은혜를 구하며 겸허히 하루를 시작해야 할 것이다.

2016년 12월 6일 화요일

요한삼서 2절에 기록된 "사랑하는 자여 네 영혼이 잘됨같이 네가 범사에 잘되고 강건하기를 내가 '기도'하노라"라는 가이오를 위한 사도요한의 기도는, 1절에 설정된 요한과 그의 관계에 근거한다. 그 관계는 그 둘이 "진리 (곧,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이었다. 

"진리되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항상 이러한 사랑과 기도의 관계에 있어야 한다는 것은 '그저 이론에 불과하다'"고 말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우리의 마음이 참 편할 것이다.
출Ex 33:16,
"나와 주의 백성이 주의 목전에 은총 입은 줄을 무엇으로 알리이까 주께서 우리와 함께 행하심으로 나와 주의 백성을 천하 만민중에 구별하심이 아니니이까
For how shall it be known that I have found favor in your sight, I and your people? Is it not in your going with us, so that we are distinct, I and your people, from every other people on the face of the earth?"

- "주께서 우리와 함께 행하심으로" 주의 은총 입은 줄을 압니다! 
- We know Your favor "in Your going with us"!
요이 2Jo 1:2, 
"우리 안에 거하여 영원히 우리와 함께 할 진리로 말미암음이로다
because of the truth that abides in us and will be with us forever"


- 우리 안에 거하여 영원히 우리와 함께 할 진리이신 예수님! 
- 혼란한 시대에 우리를 추스를 수 있는 진리이다.
빌레몬서 Philemon 1:6,
"ὅπως ἡ κοινωνία τῆς πίστεώς σου ἐνεργὴς γένηται ἐν ἐπιγνώσει παντὸς ἀγαθοῦ τοῦ ἐν ἡμῖν εἰς χριστὸν Ἰησοῦν/
[빌레몬] 너의 믿음의 (나눔)이, 우리 가운데 있는 [즉, 너와 내가 그리스도 안에서 경험한] (모든) 선(한 것)을 [오네시모가] 알게 하고 그리스도께 이르(게) (하는 데, 효과적이도록 [나 바울이] 기도한다)"
- 하나님의 백성으로 걸어가는 것은 정말 빡빡하다...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증명된, 우리를 위한,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가 담아내기에 너무 크시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가 막힌 것은, 그 사랑을 증명하신 예수님이 나와 연합하셔서 이 걸음을 가장 가까이서 지키시고 인도하신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이 겨울날, 참 "거시기한" 오네시모에게 호의를 베풀어야 하는 빌레몬의 입장에 깊이 젖어본다.

2016년 11월 4일 금요일

시 44:22 vs. 롬 8:36

예수님은 성경의 해석의 중심이시다.
그동안 읽어왔던 구약의 내용을 송두리채 예수님 중심으로 바꾸셨고, 신약의 기자들은 그러한 자리에 서서 예수님이라는 안경을 쓰고 구약을 재해석했고 인용했고 적용하면서 더 분명하게 예수님 중심적으로 만들었다.

이에 대한 많은 예가 있지만,
한 가지만 살펴보면,
시편 44편 22절은 "우리가 종일 주를 위하여 죽임을 당하게 되며 도살할 양 같이 여김을 받았나이다/ Yet for your sake we are killed all the day long; we are regarded as sheep to be slaughtered/ כִּֽי־עָ֭לֶיךָ הֹרַ֣גְנוּ כָל־הַיּ֑וֹם נֶ֜חְשַׁ֗בְנוּ כְּצֹ֣אן טִבְחָֽה׃"라고 적고 있고, 그 배경은 "이스라엘의 범죄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형벌 특히, 주변국들에게 침략을 당하고 흩어짐을 당하는 시간이 된다. 그러한 배경에서 보면, 이 내용은 불쌍하고 애처로운 상황보다는 "마땅히 받아야 하는 형벌을 받고 있는 자연스러운 상황이고, 더 나아가 하나님의 공의의 실현의 상황"이 됨을 알게 된다.

그런데, 이 같은 절은 그대로 인용하고 있는 신약의 기자인 사도바울은 로마서 8장 36절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기록된 바 우리가 종일 주를 위하여 죽임을 당하게 되며 도살 당할 양 같이 여김을 받았나이다 함과 같으니라/ As it is written, "For your sake we are being killed all the day long; we are regarded as sheep to be slaughtered/ Καθὼς γέγραπται ὅτι Ἕνεκέν σου θανατούμεθα ὅλην τὴν ἡμέραν· ἐλογίσθημεν ὡς πρόβατα σφαγῆς." 여기에서의 배경은 시편 44편과는 사뭇 다르다. 그 배경은 바로 앞 절인 35절(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나 박해나 기근이나 적신이나 위험이나 칼이랴)에 드러난다. 즉, 하나님의 백성이 하나님의 백성답게 살려고 할 때 만나는 어렵고 힘든 상황을 지적하는 것이다. 즉, "환난, 곤고, 박해, 기근, 적신, 위험, 칼"이 그리스도인들 앞에 놓여 있지만,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랑은 견고하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이것은 하나님의 백성의 범죄함의 결과로 인한 어려운 상황이 아닌 것을 알게 된다. 그런데, 사도바울은 이러한 구절(범죄로 말미암아 이루어진 형벌의 상황)을 그대로 인용하여 지금 하나님의 백성이 지나는 상황(범죄로 말미암아 이루어진 형벌의 상황이 아닌 곳)을 설명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그러한 상황에서 하나님의 도우심의 은혜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와 적용은 결국 구약의 표현들과 의미들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지만, 예수님 안에서 전혀 새로운 의미로 읽혀질 수 있고 이해될 수 있고 적용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WTT Psalm 65:4 דִּבְרֵ֣י עֲ֭וֹנֹת גָּ֣בְרוּ מֶ֑נִּי פְּ֜שָׁעֵ֗ינוּ אַתָּ֥ה תְכַפְּרֵֽם׃   BGT Psalm 64:4 λόγοι ἀνομιῶν ὑπερεδυνάμωσαν ἡ...